GAM

마이페이지 즐겨찾기, 관심종목 추천 등
편리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Air Products & Chemicals : 에어 프로덕츠 앤 케미컬스 ( APD:US )

268.76USD ▲ 6.87 (2.62%)

2025-04-11
회사개요
설립 1940년
회사명 Air Products & Chemicals Inc.
본사위치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앨런타운
업종 소재 / 화학 소재
주력사업 정유 · 화학 · 금속 · 전자 · 제조 · 식음료 등 수많은 산업의 고객사에 산소 · 질소 · 아르곤 · 헬륨 · 수소부터 의료용 가스, 특수 가스, 용접 및 절단 가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용 가스와 관련 장비를 제공
상장시장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일자 1961년 11월 13일
특징
마지막 업데이트 : 2020년 12월 20일
산업용 가스업체 에어프로덕츠, 사우디와 손잡고 그린수소 · 암모니아 생산

에어 프로덕츠 앤 케미컬스(Air Products & Chemicals Inc., 뉴욕증권거래소: APD)는 80년 넘게 산업용 가스를 생산해 다양한 기업에 판매해온 미국의 산업용 가스 및 화학제품 공급 업체이다.

1940년 9월 30일 레오나드 파커 풀이 설립했으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앨런타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전 세계 유일의 산업용 가스 및 화학제품 통합 회사이며, 특히 천연가스 액화 기술과 장비 공급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로 꼽힌다.

정유 · 화학 · 금속 · 전자 · 제조 · 식음료 등 수많은 산업의 고객사에 산소 · 질소 · 아르곤 · 헬륨 · 수소부터 의료용 가스, 특수 가스, 용접 및 절단 가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용 가스와 관련 장비를 제공한다.

주요 사업 부문은 산업용 가스 - 아시아 · 아메리카 · EMEA(유럽 · 중동 · 아프리카) · 글로벌 · 기업 및 기타로 나뉜다.

산업용 가스 - 아시아 · 아메리카 · EMEA 사업부는 각 지역에서 산소 · 질소 · 아르곤 · 희귀 가스를 포함한 대기 가스와 이산화탄소 · 헬륨 · 수소 · 특수 가스 · 아세틸렌을 포함한 공정 가스를 생산 및 공급한다.

적은 양의 가스를 공급할 경우에는 탱커나 트레일러 등을 이용하고, 공급해야 할 양이 많고 계약기간이 장기간일 경우에는 고객사의 공장까지 파이프라인을 연결하거나 공장 근처에 현장(on-site) 생산시설을 건축하기도 한다.

산업용 가스 - 글로벌 사업부는 극저온 및 공기 분리를 위한 가스 처리 장치를 비롯해 산업용 가스 산업과 관련된 각종 장비를 공급한다.

기업 및 기타 사업부는 LNG 프랜트 장비, 액체 헬륨과 액체 수소의 운송 및 저장 컨테이너, 터보 팽창기를 비롯한 정밀 로터리 장비 등을 공급한다.

1961년 11월 13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했고, 미국 3대 지수 중 S&P500에 속해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분사 및 자산 분할 매각 등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능률화하고 현금을 보충했으며, 핵심 부문인 산업용 가스 사업에 초점을 맞춰왔다.

9월이 결산월인 에어프로덕츠는 2019년 10월부터 2020년 9월까지 2020 회계연도 기준으로 매출액은 88억6000만 달러, 순이익은 19억 달러, 희석 EPS는 8.55달러를 기록했다.

에어프로덕츠는 2,5,8,11월에 배당금을 지급하며, 25년 이상 연속으로 배당금을 증액해온 안정적인 배당귀족주에 속한다. 현재 배당금은 주당 1.34달러, 배당수익률은 1.93%이다.

에어프로덕츠는 고부가가치의 전기, 연료 및 화학 제품의 생산을 위해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천연자원을 합성가스로 변환하는 가스화 프로젝트를 비롯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용 가스 프로젝트를 개발 · 설계 · 건설 · 소유 · 운영하고 있다.

향후 몇 년간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신규 프로젝트를 많이 하고 있는 만큼, 이는 매년 계속해서 배당금을 증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례로 올해 7월 8일 ACWA파워, 네옴(Neom)과 조인트벤처를 설립하여 세계적인 규모의 신재생에너지로 가동되는 총 50억 달러 규모의 친환경 수소 기반 암모니아 생산시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ACWA 파워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전력 회사이며, 네옴은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추진 중인 신도시 개발 계획이다.

총 50억 달러 규모의 네옴 프로젝트 중 에어프로덕츠의 투자액은 37억 달러이며, 암모니아 플랜트 설립에 17억 달러, 다운스트림, 물류 및 수소 충전소 인프라 구축에 20억 달러를 지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2019년 6월에는 사우디 국영석유회사인 사우디 아람코와 손잡고 다란 테크노밸리 사이언스파크 내 에어프로덕츠 테크놀로지 센터에 사우디 최초로 수소 연료 충전소를 개장한 바 있다.

이 수소 충전소는 사우디 아람코의 산업 · 기술 분야 경험과 에어프로덕츠의 수소 연료 노하우를 결합하여 탄생한 것으로 에어프로덕츠의 고유 기술인 스마트퓨어(SmartFuel®) 수소 충전 기술이 적용됐다.

2025년 가동될 예정인 네옴 프로젝트에서는 일단 사우디 북서부 네옴 지역의 풍부한 태양광과 풍력으로 발전한 4기가와트 이상의 신재생 전기로 독일 티센크룹(Thyssen Krupp)의 수전해 기술을 활용해 물을 전기분해, 하루 650만톤의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그런 다음 이 그린 수소를 에어프로덕츠가 공기를 분리해 생산한 질소와 합성해 하루 3500만톤, 연간 120만톤의 친환경 암모니아를 생산하게 된다.

암모니아는 영하 253℃에서 액체 상태로 바뀌는 수소와 달리 영하 33℃에서 액화하며, 수소를 액상 암모니아 형태로 변환하면 기체 상태보다 더 많은 수소를 저장하고 운송하기 쉬워지는 장점이 있다.

에어프로덕츠는 이 친환경 암모니아의 독점 구매자가 되며, 이를 통해 세계 최대의 그린 수소 생산 사업자로 등극할 예정이다.

수소는 기후 변화 방지와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점차 우리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린데(LIN), 에어리퀴드(AIQUY)와 함께 수소 생산 및 저장 · 운송 분야의 글로벌 선두주자로 꼽히는 에어프로덕츠의 지속적인 매출 상승이 기대되고 있다.

지난해 에어프로덕츠의 주가 움직임은 S&P500 시장 수익률을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미국 · 카타르 ·캐나다 등 여러 국가가 LNG 신규 개발 및 투자 계획을 발표한 시기가 2019년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새로운 LNG 플랜트 공사를 위해서는 에어프로덕츠의 액화 기술이 필수적이라며, LNG 공급 시장의 경쟁우위를 두고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될수록 에어프로덕츠의 주가는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 9월 에어프로덕츠는 카타르 LNG 개발 사업을 위한 액화기술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카타르는 2025년까지 0.3억톤의 LNG 생산시설을 완공할 계획이다.

온라인 투자 정보 업체 팁랭크스(TipRanks)에 따르면, 에어프로덕츠에 대한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컨센서스는 '강력 매수'(Strong Buy)이다.

최근 3개월 동안 에어프로덕츠에 대한 투자의견을 낸 애널리스트는 모두 9명으로, 이중 8명이 '매수'를 추천하고, 1명은 '보유' 의견을 제시했다.

이들이 제시한 향후 12개월 목표주가 가운데 최고치는 BMO 캐피탈이 제시한 340달러이며, 최저치는 JP모간이 제시한 280달러이다.

목표주가 평균치는 311.50달러로, 27일 종가인 277.83달러를 기준으로 약 12.12%의 추가 상승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에어프로덕츠의 주가는 최근 5거래일간 2.76% 올랐고, 연초 대비 18.23% 상승했다.

52주 최고가는 11월 10일 기록한 327.89달러, 52주 최저가는 3월 17일 기록한 167.43달러다.

시가총액은 614억1000만 달러이며, 주가수익률(PER)은 32.50배, 주가순자산비율(PBR)은 5.45배이다.

다만, 지난 10년 동안의 PER이 평균 18배였다는 점을 고려할때 현재는 다소 고평가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뉴스핌 = 김현영 기자
나라별 종목 더 보기

미국

중국

홍콩

대만

일본

유럽

베트남

[중국증시 주간 포인트] 미·중 관세조치 발효, 3월 CPI∙PPI∙3대 금융지표, 1Q 실적발표 시즌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