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마이페이지 즐겨찾기, 관심종목 추천 등
편리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HCA : HCA 헬스케어 ( HCA:US )

333.12USD ▼ -1.94 (-0.58%)

2025-04-11
회사개요
설립 1968
회사명 HCA Healthcare
본사위치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업종 헬스케어
주력사업 2020년 5월 기준 미국, 영국에서 186개의 병원과 수술센터, 응급치료센터를 포함한 2000여개의 의료 시설을 운영
상장시장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일자 2010.5
특징 - 미국 내 최대 의료시설 보유 민간 기업
- 팬데믹 사태 진화로 각종 의료 시설과 비응급 수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장기적인 성장 기대
- 월가 '강력 매수' 종목
마지막 업데이트 : 2020년 12월 21일
HCA 헬스케어, 美 최대 의료시설 보유 기업

HCA 헬스케어(HCA Healthcare, NYSE: HCA)는 1968년 설립된 미국의 대표적인 민간 의료시설 보유 기업이다. 테네시주 내슈빌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20년 5월 기준 미국 내 21개주와 영국에서 186개의 병원과 수술센터, 응급 치료 센터를 포함한 2000여개의 의료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HCA 헬스케어는 올해 헬스케어 섹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속에 확인한 강한 상승 탄력을 토대로 내년에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병원 및 관련 의료 기관을 운영하는 이 회사는 코로나 사태로 각종 의료 서비스에 제동이 걸리면서 영향을 받았지만, 팬데믹 사태 진화로 의료 서비스 시장이 활기를 띄게되면 장기 성장이 기대되는 종목으로 꼽힌다.

HCA 헬스케어는 하버드 필그림 헬스케어 연구팀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를 포함한 파트너들과 대규모 임상 연구를 수행하고, 환자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세계적 의학 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EJM)에 발표된 REDUCE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의 감소) 연구를 포함해 여러 의학 연구를 발표했다.

1990년대 회사는 부정회계 문제로 연방정부에 벌금으로 20억달러 이상을 지불하고 이사회에서 CEO를 해임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다가 2000년대 경영진 교체로 턴어라운드를 맞이했다. HCA는 세계적인 기업윤리연구소 에티스피어 인스티튜트(Ethisphere Institute)가 선정한 2010년~2019년 세계에서 가장 윤리적인 기업 중 하나로 선정됐다.

HCA는 1968년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토마스 프리스트 형제와 잭 매시가 설립했다. 이들은 병원을 하나로 묶어 환자 중심의 진료를 제공하는 한편 조직의 자원을 결합하여 의료 행위를 개선하는 회사를 구상했다.

1969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기업공개(IPO)를 신청하면서 11개의 병원을 포함시켰고 연말까지 26개의 병원과 3000개의 병상을 확보했다.

1970년대는 HCA 헬스케어가 급성장한 시기로, 1980년대 HCA는 제너럴케어와 제너럴헬스서비스 등을 인수하면서 몸집 불리기에 집중했다. 1981년 말까지 HCA 소유 병원은 349개로 늘어났고 병상은 4만9000개 이상을 확보했다. 당시 영업수익은 24억달러에 이르렀다.

이후 몇 차례의 인수합병과 스핀오프 등으로 기업 구조를 지속적으로 개편했고, 2010년 5월 HCA는 뉴욕증권거래소에 HCA홀딩스로 46억달러 규모의 재상장을 추진했다. 2011년 3월 주당 공모가 30달러에 1억2620만주를 발행하면서 37억9000만달러를 조달했다. 당시 사모 펀드가 지원하는 IPO로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됐다.

2017년 회사명을 'HCA헬스케어'로 변경했다. 회사는 지난해 포춘지 선정 매출 기준 미국 내 500대 기업 순위에서 67위에 이름을 올렸다.

월가는 HCA 헬스케어에 '강력 매수'(Strong Buy) 컨센서스를 형성하고 있다. 지난 3개월간 HCA 헬스케어를 분석한 IB 애널리스트는 10명인데, 전원이 '매수'(Buy) 투자 의견을 제시했다. HCA 헬스케어에 대한 목표주가 평균은 168.89달러로 제시됐다.

HCA 헬스케어는 지난 12월 18일 기록한 종가 164.34달러 기준으로 연초 이후 11.18% 상승했고, 지난 3개월간 24.26%, 1개월간 11.54% 올랐다. 52주 최고가는 12월 18일 장중 기록한 165.98달러, 최저가는 3월 18일 장중 기록한 58.38달러다. 

뉴스핌 = 민지현 기자
나라별 종목 더 보기

미국

중국

홍콩

대만

일본

유럽

베트남

[중국증시 주간 포인트] 3월 MLF 금리 발표, A주∙H주 무더기 실적발표, 보아오 포럼 개최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