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증시 주간 포인트] 3월 LPR, 中 국무원 내수진작 기자회견, 2월 생산∙소비∙투자 지표, 美 FOMC 회의, 엔비디아 'GTC 2025', 화웨이 신제품 발표회
무료
설립 | 2004.1 |
회사명 | JD.COM |
본사위치 | 베이징 |
업종 | 전자상거래 |
주력사업 | 징둥상청(京東商城/ 전자상거래), 징둥금융(京東金融/핀테크), 파이파이왕(拍拍網) 등 |
상장시장 | 나스닥, 홍콩 |
상장일자 | 2014.5.22(미국), 2020.6.18(홍콩) |
특징 | -중국 전자상거래 2위 기업 -사스, 코로나19 등 팬데믹 발생 시기 급성장 -스마트 첨단 물류 시스템 구축으로 수익성 개선 |
■ 아마존보다 19배 빠른 성장 속도
징둥은 알리바바의 뒤를 잇는 중국 2대 종합 전자상거래 기업이다. 2019년 기준 중국 시장 점유율은 20%로 알리바바의 63%에는 뒤지지만, 3위인 핀둬둬(8%)에 비해서는 크게 앞선다.
최근 10년 사업 성장 속도는 알리바바, 페이스북, 아마존 등 세계적인 IT 기업을 큰 폭으로 추월했다. 2009~2019년 영업매출 규모가 196.6배가 증가했다. 중국 내 라이벌인 알리바바(74.6배)의 2.7배에 달하고, 아마존과 비교하면 19배에 이른다.
중국 1위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에 대항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세워왔다. 상반기 쇼핑 축제 '6.18 쇼핑데이'가 대표적이다.
알리바바가 매년 11월 11일부터 개최하는 할인 판촉 프로모션'솽스제(雙十節)'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연간 최대 전자상거래 소비 축제로 자리를 잡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6월 18일 쇼핑데이인 '6.18'를 만들었다. 상반기엔 징둥의 '6.18', 하반기엔 알리바바의 '11·11 솽스제'가 폭발적인 소비를 이끌어 내고 있다.
징둥은 특히 디지털 가전 제품 분야에서의 시장 우위가 뚜렷하다. 온라인 시장에서 PC,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시장 점유율이 각각 88%, 75%와 62%에 달한다.
이는 중국의 전자제품 산업의 메카 중관춘(中關村)에서 가전 컴퓨터 용품점으로 시작된 징둥의 'DNA'와 깊은 관련이 있다.
중국에서 인터넷 산업 열풍이 뜨겁게 확산되던 1998년 중국 명문 런민(人民)대학을 졸업한 류창둥(劉強東)은 중관촌에서 CD/DVD와 CD-ROM 판매점을 열었다. 저작권 의식이 부족해 불법 '해적판'이 난무하고, 경쟁업체들이 불법 복제품으로 큰 이윤을 남겼지만 류창둥은 정품을 고집했다고.
창업 초기 불법 복제품을 파는 경쟁사에 비해 성장은 더뎠지만, 고객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기 시작하면서 사업 규모가 빠르게 확장됐다. 작은 매대 한 개로 시작한 사업은 3개 사무실과 12개의 매대를 운영하는 번듯한 중소기업으로 성장했다.
이후 중국에서 전자상거래가 보급되면서 중관춘의 사업도 위기를 맞았다. 뛰어난 사업 감각을 지닌 류창둥은 2003년 사스(SARS) 사태를 계기로 본격적인 전자상거래 사업에 진출했고, '전염병'은 류창둥의 '징둥'을 대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동력이 됐다.
■ 자체 스마트 물류시스템으로 수익성 극대화
징둥은 자체 물류 시스템 '징둥물류'를 통해 수익성 극대화에 성공했다. '물류 사업'의 성공은 류창둥의 사업 안목을 다시 한 번 증명한 전략이었다. 류창둥은 2007년 물류 자회사를 설립하고, 첨단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 물류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그러나 2019년 8월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전까지는 류창둥 CEO의 전략적 실패로 여겨지는 사업이었다. 스마트 첨단 물류를 표방한 물류센터 구축을 위해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면서 한때 손실 규모가 엄청나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외부에서는 물류 사업부문을 징둥의 실적을 '갉아먹는 애물단지'로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징둥 물류센터의 진가가 발휘되기 시작했다. 자체 물류센터로 인해 배송 단가가 갈수록 하락했고, 올해 1분기에는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배송 단가 하락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3월 31일 기준, 징둥물류 산하 물류센터는 730개, 총면적은 1700만㎡에 달한다. 중국 전역의 행정구역을 100% 아우르는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했고, 농촌 지역에서도 24시간 내 배송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 독특한 사생활, 성추행 스캔들 이슈
성공한 자수성가 사업가로 꼽히는 류창둥은 남다른 사생활로도 자주 매스컴을 탔다. 2015년 '밀크티 소녀'로 유명세를 치르던 장쩌톈(章澤天)과 20살의 나이를 극복하고 결혼해 화제가 됐다. 우수한 학력과 뛰어난 미모로 인터넷 '셀러브리티' 였던 장쩌텐은 류창둥과 결혼 후 가장 젊은 여성 부호 반열에 올랐고, 2016년 딸을 낳아 행복한 가정 생활을 이어가는 듯했다.
그러나 2018년 류창둥이 미국에서 성범죄로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한 후 이혼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류창둥은 올해들어 각종 계열사의 대표직에서 사퇴했지만, 그룹의 실질적 경영자 역할을 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