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증시 주간 포인트] 3대 금융지표 발표, 바이두 AI 최신모델 공개, AI 글래스 세미나
무료
설립 | 2015.7 |
회사명 | Kraft Heinz Company |
본사위치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 |
업종 | 필수 소비재 |
주력사업 | 하인즈 크래프트 맥스웰 하우스 젤로 오스카마이어 필라델피아 크림치즈 |
상장시장 | 나스닥 |
상장일자 | 2015.7 |
특징 | -영업권 손상차손 상각 등으로 2018년 어닝쇼크 -배당금 3분의 1 수준으로 삭감 -회계처리 관련 SEC 조사 -3년간 주가 60% 폭락 -CEO교체, 코로나 이후 턴어라운드 기대 |
미국 대형 식품 회사 크래프트하인즈는 2015년 크래프트푸즈와 하인즈가 합병해 탄생한 기업으로 일리노이주 시카고와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19년 연 매출(250억달러) 기준 미국에서 세 번째, 전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식음료 회사다.
'케첩 왕'으로 통하는 하인즈와 맥앤치즈로 유명한 크래프트 이외에 맥스웰 하우스, 젤로, 오스카마이어, 필라델피아 크림치즈 등 20개 이상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8개 브랜드는 개별 매출액이 10억달러 이상이다.
크래프트하인즈는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투자한 대표적인 종목 중 하나이기도 하다. 버크셔해서웨이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다섯 번째로 비중이 크다. 버크셔는 2013년 브라질 투자회사 3G 캐피탈과 손잡고 하인즈를 2013년 인수했다.
크래프트하인즈는 지난 2018년 4분기 어닝 쇼크를 맞으면서 월가 투자자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크래프트와 오스카마이어 등 자회사의 영업권 손상차손이 154억달러를 기록했으며 배당금을 3분의 1 수준으로 줄인 것.
물품 조달 부문 회계 처리와 관련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조사를 받기도 했다. 해당 발표로 지난해 2월 크래프트하인즈의 주가는 27% 폭락했다.
2020년 9월 크래프트하인즈는 치즈 사업부를 32억달러에 프랑스 다국적 유제품 회사 락탈리에 매각하기로 했다. 필라델피아 크림치즈와 크래프트 싱글스, 벨비타 치즈, 치즈위즈는 크래프트하인즈의 사업으로 남는다.
또한 업체는 2024년까지 5년에 걸친 20억달러 비용 감축 계획을 발표하면서 해당 계획으로 주당순이익(EPS)이 4%~6%, 매출이 1%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3년간 크래프트하인즈의 주가는 60% 이상 하락했다. 2017년 매출은 1% 감소했고 2018년에는 1% 미만 성장, 2019년 다시 2% 감소하는 등 저조한 판매 실적을 이어갔다.
웰빙 푸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가격 경쟁에서 밀리면서 크래프트하인즈의 매출은 감소했다. 가격 인하로 마진을 희생하는 등 조처를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최고경영자(CEO) 교체로 회계 문제를 해결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패턴 변화에 매출이 증가하면서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가 크다.
올해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으며, 조정 EBITDA(법인세, 감가상각, 이자 비용 차감 전 이익) 마진율은 24.5%에서 25.1%로 확대됐다.
회사는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올해 매출이 3% 증가하고 순익이 10%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팬데믹으로 인한 일시적 수요 증가 효과가 끝이 나면서 2021년에는 매출과 순익이 각 2%, 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월가 투자은행(IB)을 대상으로 실시한 마켓워치 조사에 따르면 지난 3개월간 크래프트하인즈에 대한 투자 의견 컨센서스는 '보유'다.
22곳 가운데 '보유' 의견이 12곳으로 가장 많았고 '매수'는 7곳으로 나타났다. 비중확대와 매도는 1곳, 2곳 있었다. 목표 주가 평균값은 36달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