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마이페이지 즐겨찾기, 관심종목 추천 등
편리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DEEJ : 동아아교 ( 000423.SZ )

61.38 ▼ -0.22 (-0.36%)

2025-04-14
회사개요
설립 1952
회사명 DEEJ
본사위치 산둥성(山東省)
업종 의약·바이오 - 중약(中藥)
주력사업 당나귀 가죽으로 만든 고급 보양제
상장시장 선전거래소
상장일자 1996.7
특징 -인삼, 녹용과 더불어 중국 3대 전통 보양제
-중국 500대 브랜드 기업에 12차례 선정
-최근 소셜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 판매 주력
마지막 업데이트 : 2021년 01월 19일
◆ 3천년 역사를 지닌 고급 보양제 동아아교

중국에서 인삼·녹용과 더불어 3대 전통 보양제인 아교(阿膠)를 만드는 제약회사다. 아교는 당나귀 가죽을 오래 끓여 만든 것으로 중국 고대 황실에서 널리 쓰인 전통 보양제이기도 하다. 산둥성 둥어(東阿, 동아)현에서 주로 제조됐다고 해서 동아아교란 이름이 붙었고, 그대로 회사 명칭이 됐다.

전통이 깊은 만큼 중국인들에게 오랫동안 인정받은 브랜드이기도 하다. 글로벌 시장 연구 기관 월드브랜드랩(World Brand Lab)이 매년 뽑는 중국 500대 기업에서 12차례나 선정됐다. 

지나친 가격 인상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2001년 1kg당 80위안에서 2019년 5996위안으로 75배나 급등했다. 베이징의 주택 가격 인상분을 웃도는 수준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동아아교 제품을 '작은 금괴'라고도 부른다.

일각에선 가격 급등의 원인을 당나귀 품귀 현상에서 찾는다. 주성분인 당나귀 가죽 가격이 매년 23%씩 올라 장당 2000위안까지 가다 보니 아교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동아아교는 네이멍구와 산둥에 여러 개 사육장을 두고 당나귀 자체 공급을 시도하고 있지만 번식률이 낮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7년부터 성장 속도가 둔화되다가 2019년 급기야 적자를 냈다. 1996년 상장 후 20여년 만에 처음으로 받은 마이너스 성적표다.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중의학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는 것과 아교의 효능이 가격 대비 과하게 부풀려져 있다는 언론 보도 등이 실적 부진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심지어 일부에선 "아교는 당나귀 가죽을 삶은 것에 불과하다"는 혹평을 날리며 회사 명성을 깎아내리기도 했다.

위기 극복을 위해 2020년부터 디지털 사업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기존 주축이 됐던 오프라인 채널 대신 소셜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채널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온라인에 익숙한 젊은층에게 고객 친화적 이미지를 심어주고 시장에 기민하게 반응하겠다는 취지다. 자체 소셜 플랫폼 '쟈오성훠(嬌生活)'가 108만 명의 회원을 모으며 순조로운 시작을 알렸다.

뉴스핌 = 권선아 기자
나라별 종목 더 보기

미국

중국

홍콩

대만

일본

유럽

베트남

[중국증시 주간 포인트] 中 1Q GDP, 3월 무역·소비·생산·투자·금융지표, 샤오미·니오 신제품 공개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