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마이페이지 즐겨찾기, 관심종목 추천 등
편리한 기능을 이용해보세요

Simon Property Group : ( SPG:US )

153.25USD ▲ 13.13 (9.37%)

2025-04-09
회사개요
설립 1993년
회사명 Simon Property Group Inc
본사위치 미국 인디애나 인디애나폴리스
업종 리테일 리츠
주력사업
상장시장 NYSE
상장일자
특징
마지막 업데이트 : 2020년 11월 05일

킴코 리얼티(KIM)는 시가총액 47달러 규모의 '리테일' 리츠 회사다.

최고급 쇼핑, 식당, 엔터테인먼트 및 복합 이용 목적지를 소유하고 개발 및 관리하는 고급 쇼핑몰 중심의 소매 리츠다.

이 회사의 포트폴리오는 북미, 아시아, 유럽에 걸쳐 지리적으로 다양하며, 1억 9100만 평방피트로 구성된 235개의 부동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SPG는 204개(몰 99개, 프리미엄 아울렛 69개, 밀 14개, 라이프스타일 센터 4개, 기타 18개)의 부동산을 보유한 미국 최대 프리미엄몰 소유주다. 국제적으로 이 회사는 아시아, 유럽, 캐나다에 위치한 31개의 프리미엄 아울렛과 디자이너 아울렛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

SPG는 또 유럽 15개국에 쇼핑센터를 소유하고 있는 파리에 본사를 둔 부동산회사인 클리에피에르 SA의 지분 22.4%를 보유하고 있다.

회사는 오피스, 주거용, 소매, 식당 등으로 다변화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데 총 3,400개 임차인 가운데 연간 기본임대료(ABR) 익스포져가 1% 넘은 임차인은 1.0%에 불과할 정도로 분산,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 임차인의 구성도 필수 유통(43%), 여타 유통 서비스(43%), 식당(14%) 등으로 분산돼 있으며, 업종도 헬스클럽, 은행, 병원, 주유소, 약국, 가전, 의류 판매 업체 등으로 세분돼 있어 특정 업종에 대한 리스크가 낮은 편이다.

미국 부동산 최저임대료의 3.5% 이상을 단일 세입자가 차지하지 않는 등 SPG의 입주 기반도 고도로 다양화돼 있다.

더 갭(The Gap, Inc., NYSE:GPS)은 SPG의 단일 최대 테넌트로, 아래 표에서 보면, 전체 2.1%, 총 기본 임대 수익의 3.5%를 차지한다. 

2분기에 거의 10,500일의 쇼핑 일수가 손실되는 등 (2분기의 보충 데이터에 따르면) COVID-19와 관련된 모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프리미엄 소매 포트폴리오의 탄력성은 상황을 잘 관리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2분기 매출은 11억 달러로 24% 감소했고, FFO는 7억 4650만 달러 또는 주당 2.12달러로 전년보다 30% 감소했으며, NOI는 12억 달러로 전년보다 3억1500만 달러 감소했다

SPG의 유동성 지위는 2020년 6월 30일 현재 85억달러를 마음대로 쓸 수 있을 정도로 견조한 상태로, 현금 3.6달러(공동기업 현금 분담 포함), 가용 신용시설 49억달러와 차입능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SPG는 15억 달러의 순 세입 채권과 대차대조표상 누적 수익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중 상당 부분은 회사가 향후 협상이나 소송을 통해 이연 임대료 회수를 추진할 때 현금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우리는 믿는다.

2020년 7월 7일, 2-20분기에 이어, SPG는 선순위 채권 판매로 20억 달러를 모았는데, 이 중 일부는 올해 말 만기가 돌아오는 특정 부채를 상환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런 불확실한 시기 속에서 저금리 환경을 두드려 부채를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이 대차대조표 강세에 반영된다.

대차대조표상의 추가 부채는 일부 우려를 불러일으키지만 SPG는 부채 만기를 유리하게 구조화함으로써 대차대조표를 잘 관리해 왔다

 

다른 소매 리츠와 마찬가지로, 대유행은 SPG의 최근 분기별 배당금도 한 입 베어먹었다.

SPG는 2분기 동안 배당금을 2.10달러에서 1.30달러로 약 38% 줄임으로써 FFO의 61%인 주당 2.12달러의 지급 비율을 시사했다.

전반적인 소매 리츠 배당금 지급 시나리오를 고려할 때, 우리는 수익률 관점에서 2020년도의 연간 6달러 배당이 여전히 매우 좋다고 생각한다.

이는 현재 주가에서는 8.6%의 수익률에 해당된다.

전염병이 발생하기 전 SPG의 역사적 배당수익률을 파헤치는 일부에서는 훨씬 낮은 배당수익률을 보였으며, 8.6%의 수익률로 이 회사의 주식은 매력적이다.

 

 

올해는 세계적으로 리츠 주들이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코로나 19가 확산하며 리츠의 임대수익 감소와 배당금 축소 우려가 커졌고, 기초 자산인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전망 역시 악화했기 때문이다. 킴코 역시 코로나 19로 인한

하지만 연말 배당 시즌이 다가오며 올해 부진한 리츠 주가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 주가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발표된 KIM에 대한 22건의 월가 투자의견을 종합하면 '보유'다.

'보유' 의견이 16곳으로 가장 많았고 '매수'와 '매도'가 각각 5곳, 1곳으로 나타났다. 목표 주가 평균값은 13.44달러다.

2020년 11월 4일 종가기준으로 KIM의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63% 내린 10.73달러다.

52주 최고가는 21.86달러이고 최저가는 7.45달러이다.

뉴스핌 = 김현영 기자
나라별 종목 더 보기

미국

중국

홍콩

대만

일본

유럽

베트남

[중국증시 주간 포인트] 美 트럼프 '상호관세', 공식∙차이신 PMI, 창립 15주년 '샤오미'

무료